▲ 제68회 칸 영화제 폐막식에 모인 수상자들

지난 5월 23일(프랑스 현지시간) 제 68회 칸 영화제가 막을 내렸습니다. 총 19편의 공식경쟁작들이 12일간 상영됐습니다. 


정치적인 문제에 주목하다

황금종려상은 프랑스 영화 <디판 Dheepan>이 받았습니다. 스리랑카 이민자들의 삶을 담은 영화입니다. 정식 시민권을 받기 위해 가족 행세를 하던 두 남녀와 한 아이가 새로운 일자리를 얻기 위해 파리 외곽으로 떠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라고 합니다. 감독인 자크 오디아르는 지난 2009년 <예언자 A Prophet>를 통해서 이민자 문제를 다룬 적이 있습니다. 감독은 국내 영화매체와 인터뷰에서 “어떻게 인간다운 인간이 될 수 있을까에 대한 이야기”라고 이 영화를 설명했습니다(씨네21, '자크 오디아르 인터뷰', 2015.06. No.1007).

▲ 제68회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 <디판 Deepan> 스틸컷

외신들은 올해 1월 일어난 '샤를리 에브도' 테러 사건에 영향을 받았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는데요. <디판>의 황금종려상 수상은, 2월에 열린 베를린 영화제가 자파르 파나히 감독의 영화를 황금곰상 수상작으로 선정한 것과 연장선에 있다고 봅니다. ‘샤를리 에브도’ 사건 이후, 베를린 영화제는 이란 정부에 의해 영화를 만들지 못하는 반체제 감독에게 최고상을 수여한 것이죠. 표현의 자유 논쟁에 마침표를 찍으려는 듯이 말입니다. 

이에 반해 칸 영화제는 프랑스의 오랜 사회문제인 이민자 사회통합이라는 보다 현실적인 사안에 방점을 둔 것 같습니다. 더군다나 지난 4월에 발생한 지중해 난민선 침몰 사건으로 유럽 전체가 난민 문제에 골머리를 앓게 된 일도, 이번 <디판>의 황금종려상 수상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동시대 유럽 사회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영화의 역할'이라는 칸 영화제의 테마에 비춰본다면 어쩌면 당연한 선택이었습니다.


다양한 영화, 비슷한 이야기

 제68회 칸 영화제 심사위원장 코엔 형제

올해는 작품이나 감독의 국적 등에서 다양성에 초점을 맞추고자 노력했습니다. 할리우드 영화보다는 유럽과 아시아 영화들을  많이 배려했죠. 경쟁부문의 출품작들만 보면, 유럽, 아시아, 남미 영화들의 비율 맞추기가 느껴집니다. 최근 칸 영화제의 지나친 상업성을 여러 비평가들이 비판한 한 일이 이런 변화를 가져 온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갈 길이 아직은 멀어보입니다. 경쟁부문 19편 중에서 영국, 미국, 프랑스가 제작하거나 해당 국가의 국적을 가진 감독의 영화가 9편에 이를 정도였으니까요.

칸 영화제가 보여준 ‘약간'의 변화에 대해 국내 언론들은, 다양성을 추구했으나 결국 종착역은 프랑스라는 혹평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주요부문의 상들을 프랑스 영화와 배우들에게 수여했다는 점을 꼬집은거죠. 굳이 영화제에서까지 국적을 들먹이며 변화를 시도하는 모습조차 평가절하 하는 건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칸 영화제 집행위원장 티에리 프리모(Thierry Fremaux)

외려 문제는 다른 데 있습니다. 바로 이야기의 다양성이 부족했다는 점이죠. 올해 칸 영화제에 초청된 영화들의 주제나 내용을 봅시다. <디판>, <사울의 아들>, <캐롤>, <램스> 등 초청된 영화들은 이민자, 홀로코스트, 동성애를 중요한 소재들을 다뤘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사랑, 가족관계와 형재애, 인간애를 성찰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모두 비슷한 지점에 이르고 있습니다. 때문에 소재보다는 주제의 다양성에 더 방점을 뒀어야 하지 않았을까 합니다. 

[가디언 The Guardian]은  “영화제의 전체적인 퀄리티에 대한 비평가들의 평가가 엇갈린다”며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 특히 “<리바이어던>, <윈터 슬립>, <미스터 터너>, <지미홀>, <폭스캐처>, <와일드 테일즈>, <클라우드 실즈 오브 마리아>, <마미>, <투 데이즈, 원 나잇> 같은 영화들을 볼 수 있었”던 작년 영화제와 비교했는데요. 주목을 끌만한 이야기가 부족했다는 점을 에둘러서 지적했던 것입니다.(2015: Jacques Audiar's Deepan Surprise Winner of Palme d'Or)

그래서 이런 평가를 하는 건 어떨까요. 거장들의 영화를 초청함으로써 오히려 안주하려고 했던 건 아닌가,라는. 평범한 많은 영화보다 흥미로운 영화 한 편을 만나는 일이야말로 영화팬들이 원하는 거겠죠. 변화가 아니라 어쩌면 영화제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느껴집니다.





처음으로 소개할 감독은 러시아 감독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Andrei Zvyagintsev)입니다. 최근 주요 국제영화제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감독으로, 오랜 침체기에 있던 러시아 영화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습니다. 소위 러시아 영화라고 하면, 몽타주 기법이나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같은 세계영화사 책에나 나오는 몇몇 키워드 말고는 떠오르는게 없습니다. 하지만 즈비아긴체프의 영화들이 서구권의 세계적 영화제들에 초청되면서 러시아 영화에 대한 관심도 조금씩 높아지고 있습니다. 


즈비아긴체프 감독은 1964년에 러시아 시베리아 지구 노보시비르스크(Novosibirsk) 주에서 태어났습니다. 원래는 연기를 전공했던 사람입니다. 노보시비르스크 극예술학교에서 러시아 극예술 아카데미(Russian Academy of Theatre Arts)까지 그의 전공은 연기학이었습니다. 아카데미를 졸업한 후 1992년부터 영화와 연극을 오가며 본격적으로 배우활동을 했습니다. 주로 단역이었습니다. 그러던 2000년 REN TV의 TV 시리즈 <검은 방 The Black Room>의 에피소드 세 편(부시도, 망각, 선택)을 연출하면서 전공을 바꾸게 됩니다. 



영화감독으로 데뷔한 건 그 후 3년이 지난 2003년이었습니다. <리턴 Return>이 바로 즈비아긴체프의 첫번째 장편영화입니다. 그는 장편 데뷔작 한편으로 그해에만 제60회 베니스영화제 황금사자상 및 미래의 사자상(Lion of Future), 제16회 유럽영화상 유럽영화아카데미 신인상, 제1회 자그레브 영화제 최우수작품상 등을 수상합니다. 베니스영화제 측은 <리턴>에 대해 "사랑과 상실과 성장을 다룬 우아한 영화"라고 평가했습니다. 대박이 난 뒤 그의 두번째 영화 <추방 The Banishment>이 2007년 칸 영화제에 초청됐고, 황금종려상 후보로 언급되기도 했습니다. 결국 주연인 콘스탄틴 라브로넨코(Konstantin Lavronenko)가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을 받았습니다. 2011년 세번째 장편인 <엘레나 Elena>로 칸 영화제 '주목할만한 시선(Un Certain Regard)' 부문에 다시 초청받은 그는, 심사위원상을 수상하는데 이르렀습니다. 올해에는 감독의 네번째 장편 <리바이어던 Leviathan>이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출품됐고 각색상을 받았습니다. 데뷔 11년 동안 단 네편의 장편영화로 주요 국제영화제에서 큰 성과를 올리고 있는 것입니다. 



영화제 수상경력이 좋은 영화, 좋은 감독을 평가하는 절대적인 잣대는 아닙니다. 그래서도 안 되구요. 하지만 영화가 지니는 예술적 가치가 평가받고,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영화를 발견하는 수단으로서 영화제와 영화제 수상의 의미가 있을 겁니다. 즈비아긴체프 감독의 영화는 전자의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음은 물론 존재조차 희미했던 러시아 영화에 대한 관심을 일으켰으니까요. 최근작인 <리바이어던>에 대한 언론들의 평가 역시 지나치게(?) 높았습니다. 영국의 [가디언]은 "홉스와 체호프와 성경을 뒤섞어 놓았고, 놀라운 영상미와 함께 대단히 아름다운 균형미를 선보인다"며 침이 마를 정도로 격찬을 했습니다.(Cannes 2014 review: Leviathan - a new Russian masterpiece) 분명한 건 헐리우드 영화에 잠식당한 러시아 영화계에서 그가 서있는 위치입니다. 그의 영화는 과거 러시아 영화의 특징인 실험적 형식들과 리얼리즘 전통을 계승하면서, 러시아를 넘어 인간 존재라는 보편적인 질문으로까지 확장하고 있습니다. 에이젠슈타인, 타르코프스키는 물론 비탈리 카네프스키를 잇는 '러시아 영화의 새로운 장인'으로 거듭날지는 아직 지켜볼 일입니다.


저는 어떻게 어떻게 해서 <엘레나>까지는 봤는데, <리바이어던>이 국내에 상영될 지는 모르겠네요. 꼭 보고 싶은 데 말이지요. 이제껏 네 편의 장편영화 밖에 없지만, 러시아 영화의 현재이자 미래로 평가받는 즈비아긴체프가 만들 영화들과 만들어갈 영화세계가 무척이나 기대됩니다. 그가 지금까지 보여준 영화세계에 대해서는 추후 [감독론]에 포스팅하겠습니다.


▶ 사진 출처 및 자료참고 : 안드레이 즈비아긴체프 공식 홈페이지 



+ Recent posts